
[React-Native 공부일지] [알게 된 것] Image 컴포넌트 source속성에 {url: "주소"}로 외부 이미지를, require("경로")로 로컬 이미지 삽입 가능 resizeMode 속성 - cover: 부모 객체를 이미지로 채움, contain: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. 이미지의 실제 크기를 조절하기 보다는 부모 View로 한번 감싸고 resizeMode 속성을 이용할 것. 태그의 style 속성으로 직접 꾸밈 요소를 넣으려면, { }로 한번 감싸야함 [결과 화면] [공부 자료 및 출처] https://yuddomack.tistory.com/entry/5React-Native-%EB%A0%88%EC%9D%B4%EC%95%84%EC%9B%83-%EB%94%94%EC%9E%90%EC%9D%B..

[React-Native 공부일지] [알게 된 것] 기본 Button 위젯은 환경마다 사용자에게 다르게 보여진다. 이보다는 TouchableOpacity를 사용하여 통일할 것. style 속성은 배열의 형태로 여러가지 속성을 입힐 수 있다. 속성이 중복될 경우 제일 나중에 들어온 속성값이 우선. defaultProps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속성을 입력하지 않았을때 기본 값으로 동작한다. static defaultProps = {}; [결과 화면] [공부 자료 및 출처] https://yuddomack.tistory.com/entry/5React-Native-%EB%A0%88%EC%9D%B4%EC%95%84%EC%9B%83-%EB%94%94%EC%9E%90%EC%9D%B8-3%EB%B6%80-%EC%BB%..

[React-Native 공부 일지] 알게 된 사실 React-Native의 주축은 세로다. height, width 속성과 flex 속성을 같이 사용하면, 앞의 두 속성의 값 분배 후 남은 공간에 한해 flex 비율이 정해진다. 이때, height 속성의 값을 px로 하면 에러가 난다. 반드시 %로 분배할 것. flex와 %는 부모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. 크기 지정 필수. 화면 전체를 감싸는 container의 경우 부모 요소는 화면 전체가 된다. 자주 쓰일 속성 justifyContent: 자식 요소에 대한 주축(main-axis)의 정렬 방식 alignItems: 자식 요소에 대한 교차축(cross-axis)의 정렬 방식 공부 자료: https://yuddomack.tistory.com/entry..